탄소중립 프로젝트
-탄소중립 인포그래픽 제작 활동-
-탄소중립 인공지능 아바타 제작 활동-
-탄소중립 인포그래픽 제작 활동-
-탄소중립 인공지능 아바타 제작 활동-
🍀 01.탄소중립이란?
🍃 Chat GPT와 대화
탄소 중립은 총 배출된 온실가스(GHG)의 양과 탄소 흡수량을 맞춰서 네트로 탄소 배출이 0이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는 것은 물론, 탄소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도 중요합니다.
온실가스는 대기 중에 존재하며, 탄소를 비롯한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질소산화물(N2O) 등 다양한 기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 가스는 인간의 활동(예: 산업, 교통, 농업 등)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구 온난화 및 기후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친환경적인 전기 생산 방식으로의 전환, 에너지 효율성 향상, 대중 교통 수단의 보급 등이 있습니다. 또한, 탄소 흡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숲을 심거나, 친환경 농업 방식의 적용, 식물 기반의 친환경 기술 개발 등이 있습니다.
탄소 중립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여러 기업 및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일상에서 실천하는 것들이 큰 역할을 합니다. 아래는 탄소 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10가지 방안입니다.
에너지 절약: 가정에서는 전기와 가스를 절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구를 LED로 교체하고, 화장실에 절수기를 설치하거나, 정기적으로 에어컨 필터를 청소하는 등의 방법으로 에너지를 절약해볼 수 있습니다.
친환경 교통 수단 이용: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자전거를 타는 것은 개인차를 이용하는 것보다 환경에 더욱 친화적입니다.
에너지 효율적인 가전제품 사용: 최신 기술로 개발된 에너지 효율적인 가전제품 사용이 중요합니다.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등에서 에너지 효율 등급이 높은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에너지 절약과 함께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재활용: 일회용품을 최소화하고 재활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종이, 금속, 플라스틱 등을 분리수거하여 재활용하면, 새로운 제품을 만들기 위한 자원 소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녹색 에너지 사용: 태양광, 풍력 등 녹색 에너지를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탄소 중립을 실천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부의 지원으로 가정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치 비용을 저렴하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농업: 화학 비료나 농약을 최소한으로 사용하고, 유기농 방식으로 농사를 짓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토양의 건강과 생물 다양성 보호에도 도움이 됩니다.
친환경 제품 구매: 친환경 제품 구매는 탄소 중립을 실천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생활 용품, 음식, 옷 등 친환경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환경 보호와 탄소 배출 감소에 도움이 됩니다.
나무 심기: 나무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방출하는데, 이는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나무를 심거나 숲을 보호하는 것은 탄소 중립을 실천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지역 식재료 구매: 지역에서 생산된 식품을 구매하면, 농산물을 운송하는데 필요한 연료 소비와 이로 인한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환경 단체 참여: 지역의 환경단체에 참여하거나, 환경보호와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캠페인에 참여하여, 더 큰 범위에서 탄소 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 02.기술 공학적으로 이해하는 탄소중립
🍀 03.학교안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탄소 중립
🍀 04.탄소 중립과 에너지 공학
🍃Chat GPT와 대화
탄소 중립과 에너지 공학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친환경적인 에너지 생산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때 에너지 공학은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에너지 공학은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이는 대기 중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지열 발전 등의 친환경 에너지 생산 방식은 에너지 공학 기술의 발전으로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에너지 절약을 위한 다양한 에너지 효율 기술도 에너지 공학에서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의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LED 전구와 같은 에너지 효율적인 가전 제품 개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이로 인해 대기 중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공학 기술의 연구와 개발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친환경 에너지 생산과 에너지 효율 증대를 실현하면서 탄소 중립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 05.탄소 중립에 기여할 미래 유망 기술
[출처]KDI 한국개발 연구원 채널
🍃 맥켄지가 발표했던 탄소중립 실천 솔루션
🍃 IEA(Internatioanl Energy Solution)에서 발표한 2050 탄소중립 로드맵
KDI 정책연구원의 박OO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영상 8분 30초 부분에서 "탄소 중립의 핵심 열쇠는 기술혁신이다."라는 이야기를 하고있습니다. 결국 우리가 학교 교육현장에서 기술 및 공학 중심 안에서 '에너지 공학'적인 지속적 연구 및 개발 활동이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더 좋은 교육 방향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우리 활동의 목표는 '탄소 중립'을 기술 공학적 관점에서 개발하고, 관련 캔페인을 진행하는 것이 주 목표입니다.
🍀 탄소중립 프로젝트 실제 수업 과정
🍃 01.탄소중립에 대한 개념 이해 및 대한민국 상황 이해
위 자료를 바탕으로 '탄소중립' 및 그 중요성에 대한 부분을 설명하였다. 단순하게 실천을 중심으로 설명한다기 보다, 무엇이 문제였고 앞으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중심으로 이해하였습니다. 단순 실천적 관점은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관점으로 교육하려 하였다. 본 교사의 주요 교과는 '기술', '공학' , '인공지능 기초(2023년 기준 재교육 중)'입니다. 따라서 '기술 및 공학'적으로 탄소중립을 실천하고 이를 교육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올해 목표입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탄소중립을 위한 '실천'을 강조하는 것은 당연하나, 어떤 꿈을 꾸고 어떤 방향으로 '탄소 중립'을 실천해야 하는지 이해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IEA에서 발표한 탄수 중립 로드맵에서는 다시 한번 언급하지만 '기술 혁신'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화석에너지에 의존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부분에 대한 '혁신'이 필요하며, 이를 교육현장에서 '교육'하고 '실천'하고 학생들에게 꿈을 심어 줄 수 있다면 어떨까 하는 방향에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첫번째 시간으로 '공학일반'시간에 약 1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탄소중립에 대한 이해와 상황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였습니다.
2학년 10, 11반
2학년 6, 9반
2학년 5반
EBS 지식채널 '탄수중립' 의 문제를 시청하고 있는 2학년 12반 아이들
🍃 02.탄소중립 인포그래픽 제작 초기 세팅
디지털 디바이스를 활용한 수업은 '종이' 및 다른 학용품을 낭비하지 않는 관점에서 '탄소 중립'을 실천하는 수업이라 생각하였습니다. 제가 활용한 플랫폼은 (Canva)이며, 1학년 때 이미 인터페이스 수업은 진행해 놓은 상황이었습니다. 크게 두 가지 주제로 설정하였습니다. '탄소 중립'안에서 ①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 ②에너지 공학, 환경 공학적으로 탄소 중립 실천을 위한 미래기술 발전 방향 이라는 주제로 제작을 진행하였습니다. 학생들은 스스로 창작품을 만들며 '탄소 중립'에 대한 다양한 해결 방안을 '교육'적으로 이해해 볼 수 있었습니다.
에너지 공학 관점으로 제작하는 인포그래픽 기본 목차는 1)탄소중립의 정의 2)탄소중립을 에너지 공학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이유(개인적 견해) 3)11가지 신재생 에너지 중 1개 선택하여 조사 및 정리 4)우리나라 재생에너지 실정 등을 조사하도록 하였습니다.
🍃 Chat GPT + Clova Voice + Midjourney + D-ID + Premiere 로 만든 인공지능 탄소 중립(with 성남고)
수업을 하던 중 3월 말 '성남고' 인공지능 교사께서 '탄소중립' 교육 관련 컨텐츠를 개발하자고 연락이 오셔서, 위 제목에 기재한 플랫폰 4개를 중심으로 인공지능이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컨텐츠를 제작하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이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1차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 이상으로 '창작'이라는 개념이 들어가니, 스스로 탄소중립의 중요성 및 가치 그리고 사회적 해결 방안, 기술 혁신 방향 나아가 인공지능을 활용한 '탄소 중립' 관련 컨텐츠 생산까지 인식하고 체험할 수 있는계기가 되었다.
캔바 제작 사이즈: B4(257 364 mm)
[주제1: 에너지 공학으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연구]
1.탄소중립의 정의 VVV
2.에너지 공학(예: 태양광)으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이유 vvvv
3.에너지공학: 친환경 에너지 1개 선택 및 정의
4.선택한 친환경 에너지 원리
5.선택한 친환경 에너지 특징
6.선택한 친환경 에너지를 우리나라에 도입해야 하는 이유 vvvv
7.관련 사진들.
[주제2: 실생활에서 탄소중립 실천할 수 있는 습관 탐구]
1.교실에서 지킬 수 있는 탄소중립 실천 방안 8가지 이상
2.가정에서 지킬 수 있는 탄소 중립 실천 방안 8가지 이상
3.실생활에서 지킬 수 있는 탄소 중립 실천 방안 8가지 이상 등.
🍃 수행평가 3차시를 진행하고, MS Forms로 '링크가 있는 모든 사용자'-'편집'파일을 받았습니다. 수행평가 기준표는 링크를 클릭하세요.
화면에 '수행 필수 조건'을 띄운 상태에서 창작 수행을 진행하였습니다.
웹 인포그래픽으로 제작 및 제공할 예정이기에, 모든 작업은 스마트 테블릿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인쇄는 최소화! 종이 절감 또한 탄소중립 실천!
🍃 아래는 학생들의 탄소중립 인포그래픽 창작 결과입니다. 최고의 인포그래픽을 선발하여, 학급에 부착하고 탄소중립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상, 수업은 이렇게 마무리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