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ool App
-깃허브 코파일럿으로 개발하는 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정적 웹페이지 개발-
-깃허브 코파일럿으로 개발하는 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정적 웹페이지 개발-
“좋은 질문은 절반의 설계다.”
주제: 공학·메이킹·디지털 리터러시 (GitHub Copilot 기반 학교용 웹앱)
아래는 런모어 스타일에 맞춘 PBL 실습형 로드맵 + 즉시 쓸 수 있는 최소 예제입니다. 학생이 스스로 질문을 만들고(요구사항 발견) 만든 것을 공유·피드백하도록 흐름을 설계했습니다.
🍀프로젝트 한 줄 요약
목표: GitHub Copilot(교육용 버젼)으로 학교 현장에서 바로 열어 쓰는 ‘단일 HTML 앱(HTML Lab)’을 만들고, 필요 시 APK로 감싸 안드로이드에서 실행.
데이터: 메모장/VS Code에서 관리 가능한 JSON/CSV + 브라우저 localStorage(오프라인 가능)
🍀권장 구조 (두 가지 모드)
✅ index.html ← HTML+CSS+JS 한 파일, 로컬 저장(localStorage), JSON/CSV 내보내기
장점: 파일 하나만 배포/복사. 네트워크 제약 환경에 강함.
한계: 설치형(PWA)·완전한 오프라인 캐싱은 제한적.
✅ 3파일 이상 PWA 모드(설치·오프라인)
장점: 홈 화면 설치, 오프라인 캐싱, 아이콘.
한계: 파일 3개 필요(여전히 매우 단순).
🍀PBL 활동 흐름(수업 설계)
문제정의: “우리 학급/부서가 매주 반복하는 정보 전달·수합 업무는?”
아이디어 → 기능 목록화: 공지/과제 등록, CSV로 성취기록 모으기 등.
프로토타입 제작: 위 1파일 앱을 팀별로 커스터마이즈(필드 추가, 테마 변경).
공유·피드백: 각 팀이 만든 파일을 다른 반과 교차 사용 → 개선점 도출.
배포: GitHub Pages(또는 네트워크 폴더)에 index.html만 배치.
리플렉션: “어떤 데이터가 현장에 가장 유용했나?” 문서화·발표.
🍀VS Code/메모장 데이터 운영 팁
메모장: html-lab.json을 직접 수정 → 앱에서 “가져오기”.
VS Code: Copilot으로 UI/필드 빠르게 추가, index.html만 커밋 → GitHub Pages로 배포.
백업: 정기적으로 JSON/CSV 내보내기 사용(학교망 이슈 대비).
설치형: 기존 ‘단일 HTML 앱’에 설치형 웹앱 PWA로 전환 가능(브라우져 캐시에 넣어 인터넷 없어도 볼 수 있게)
✔️ index.html: 화면(내용)
✔️ manifest.webmanifest: 명찰(앱 이름·아이콘·시작주소 같은 소개장) → “설치해도 돼요!”라고 브라우저에 알려줌
✔️ sw.js: 서랍지기(오프라인 담당) → 필요한 파일을 캐시에 저장해 둠
헷갈리는 부분 한 줄 정리
✔️ “설치형” = EXE 설치가 아니라 브라우저가 ‘앱처럼’ 담아두는 것
✔️ manifest.webmanifest = 설치 안내장(명찰)
✔️ sw.js = 오프라인 캐시 담당(진짜 저장·불러오기 담당)
'Peace be with you.'
by Learn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