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s Add Action과 API이해
-My GPTs 에서 API키를 활용하여 웹사이트 연동하는 방법-
-My GPTs 에서 API키를 활용하여 웹사이트 연동하는 방법-
🍀 개발자를 위한 놀이터: GPT Playground
Assistants API내용을 보고, Playground에서 챗봇 테스팅, 일제 GPT화면과 아래 Workflow를 고려하여 생각
Assistants API와 Thread 개념(채팅창) 그 안에서 User's message와 Assatant's message 차이 이해
🍀 My GPTs 에서 Add Action기능을 활용하여 API 연동하여 맞춤형 Assistance 구현해보기
특정 Web이나 데이터 등을 연동하여 특화된 GPT 어시스턴스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위 링크인 OpenAI의 Assistants API Document 에 나와있는 내용을 이해하면 더욱 좋습니다. Assistants API의 내용은 개발자들을 위한 내용입니다. 더불어 Assistants를 실험하기 위한 사이트인 Playground가 있습니다. 하지만, 교육현장에서 GPT를 사용하는 상황이기에 실제 개발은 할 필요가 없습니다. Document내용의 흐름만 이해하면 GPT pro 버젼에 있는 Add Action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GPT는 본인 상황과 환경에 맞게 익힐 수 있는 부분까지만 숙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GPT Add action은 내가 사용하는 GPT에 Custom Instruction + My GPTs Create + Add Action 까지 더하여 더 정교하고 특화된 나만의 GPT AI 솔루션을 만들고 사용하는 것입니다. 개발자들이 유져를 위한 GPT AI 플랫폼(예를들어 한국형 GPT인 뤼튼)을 만드는 것도 있지만, '나를 위한 GPT를 만드는 것' 그 중 Add Action까지 활용하여 특수 목적용 AI를 만드는 것이 '교육 현장'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교육이 아닐까 생각이듭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대한민국 입시 수학 문제 풀이 튜터', '커리어넷 API 활용 진로 상담 튜더', '구글, 네이버, 유투브 통합 검색 AI' 등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2024년 4월 My GPTs Add Action 설정 창
GPT My GPTs 의 Add Action을 이해하기 앞서서 API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API(A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소프트웨어나 시스템 간에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터페이스입니다. API는 소프트웨어의 일부 기능을 외부 시스템이나 다른 소프트웨어가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중간자'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한 프로그램의 기능을 다른 프로그램에서 재사용할 수 있게 되며, 복잡하고 반복적인 개발 작업을 피할 수 있습니다.
그럼 GPT Add Action에서의 API는? GPT -- API Key -- 다른 웹 데이터(Google, Youtube, Naver 등) 이렇게 연결하여 API가 중간자 역할을 하고 GPT가 다른 웹 데이터를 탐색하여 해당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되는 것을 말합니다.
🤖 API의 역사를 간단하게 알아보자.
초기 시스템 통합:
초기의 컴퓨터 시스템들은 각각의 프로그램이나 장치 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시스템 간의 호환성과 모듈화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운영 체제의 발전:
1960년대 말부터 운영 체제들이 발전하면서, 더욱 정교하고 표준화된 API가 등장했습니다. 예를 들어, UNIX 운영 체제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API를 제공했습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등장:
1980년대에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이 등장하면서, API는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OOP는 데이터와 기능을 캡슐화하여 프로그램 구성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는데, API는 이러한 구성 요소들 사이의 명확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했습니다.
인터넷의 확산: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인터넷이 확산되면서 웹 기반 API가 발전했습니다. 이는 웹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기능을 통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예를 들어, REST와 SOAP과 같은 웹 API 프로토콜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현대의 API 경제:
오늘날에는 API가 디지털 경제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기업들은 자체 API를 개발하고, 다른 기업과 협력하여 서비스를 확장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 API가 만들어진 이유?
효율성: 개발자가 기존의 기능을 재개발하지 않고도 필요한 기능을 빠르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보안: 데이터나 기능의 접근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호환성: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플랫폼 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여, 기술적 경계를 넘어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 API의 활용 방법
데이터 공유: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기능 통합: 한 프로그램의 특정 기능을 다른 프로그램에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 반복적인 작업을 프로그래밍으로 자동화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우리 삶에서 볼 매번 보이는: API 활용 사례
Chat GPT 뿐 아니라 다른 사이트를 가입할 때 '타 사이트 아이디'로 연동하여 가입한 경험이 있는가? 2013년 전까지 이런 기능이 없었으며, 각 웹사이트를 하나하나 가입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 구글아이디, 네이버 아이디, 애플 아이디 등으로 다양한 사이트를 가입할 수 있지 않은가? 이게 API를 활용하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입니다.
캔바의 가장 큰 장점은 '디자인 플랫폼'으로 인터페이스 사용이 쉽다를 넘어서, API를 활용하여 '디자인' 중심으로 다양한 웹, 앱을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캔바에서 왼쪽에 앱을 누르면 유투브, I-ID 등 다양한 웹플랫폼을 연결하여 그 기능을 캔바 내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제작한 디자인을 캔바에서 인스타에 바로 올리는 기능도 API를 사용하는 예 중 하나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게임에서 활용되는 API 사례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그래픽 렌더링 API: 게임에서 시각적 요소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DirectX, OpenGL, Vulkan과 같은 API는 3D 그래픽 처리와 최적화에 사용되어 게임 내의 시각적 효과와 애니메이션을 개선합니다.
오디오 API: 사운드 효과와 배경 음악을 게임에 통합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OpenAL(Open Audio Library)은 다양한 오디오 효과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다차원 사운드 플레이스먼트를 지원합니다.
물리 엔진 API: 게임 내 물리적 상호작용과 운동 법칙을 모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게임의 리얼리즘을 증가시키고, 객체 간의 충돌, 중력, 기타 물리적 효과를 처리합니다. 예로, NVIDIA PhysX나 Bullet physics가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 통합 API: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소셜 미디어 서비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게임 진행 상황을 공유하거나, 리더보드를 친구들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acebook API는 게임 내에서 사용자의 Facebook 친구 목록에 접근하거나, 게시물을 공유할 수 있게 해 줍니다.
클라우드 저장소 API: 플레이어의 게임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고, 다양한 장치 간에 게임 진행 상황을 동기화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로, Google Cloud Storage API나 Amazon S3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My GPTs 에서 Add Action 기능 실습
API의 키를 모아놓은 사이트인 SerpApi를 활용하여 기본 Schema 작성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Peace be with you.'
by Learn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