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래퍼런스
##무엇을 만들고 싶은가?
#01. LED 픽셀 보드 아트셋: 마이크로 비트 + [인덕터 + LED] + 코일
#02. LED 픽셀 보드 게임(가제): 마이크로 비트 + [인덕터 + LED] + 코일(3inch) + 3D 프린팅 + 코딩(마이크로 비트)
##2023년 5월 17일 청계천 세운상가
#01. 인덕터 구매: 10마이크로 헨리 개당 100원 140개 구매
#02. 소형 기판용 고휘도 LED 레두, 블루, 그린, 화이트 30개씩 구매
##2023년 5월 18일 인공지능 공학실
코일을 감고, 테스팅. 구매한 LED가 너무 작아서 남땜이 어려웠다. 3시간 동안 실갱이를 했는데 제대로 실패했다. 코일 주면에 자기장이 생기기 위해서는 3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1.전류 흐름: 코일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코일을 감싼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주변에 자기장이 생성된다. 전류의 크기와 방향은 생성되는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을 결정한다.
2.자기 재료: 코일 주위에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자기적으로 효과적인 재료를 사용해야한다. 일반적으로 철, 니켈, 코발트 등의 자기 재료가 사용되며, 이러한 재료를 코일 내부에 배치하거나 코일 주위에 근접시킴으로써 자기장을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난 이런 상황은 아니니 패스다.
3.변화하는 전류: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전류가 변화해야 해야 한다. 전류의 크기나 방향이 변화하면 그에 따라 자기장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자기장 변화는 코일 주위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난 멍청해서, 3번을 간과하였다. 멍청하다. 런모어.
웹을 찾아보니 직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지속적으로 자기장의 방향을 바꾸어 주는 회로 설계가 있었다. 역시 나의 사부님 공박사님께 연락을 하여 물어 보았다.
트랜지스터, 저항 1k, 코일 2개를 활용한 회로도
ESClabs에서 제공한 회로 구성이다. 난 멍청하게 그냥 코일에 5v직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인덕터 LED를 연결하여 왜 안되냐고, 승질내고 있었다. 그러던 중 공박사님이 회로를 해석해 주시며, 빛이 번쩍!
하지만, 잘 사용하지 않는 회로란다. 그리고 저 회로를 쓸 바에는 그냥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하셨다. 간단히 해석해보면 일단 전원단을 주는 주요코일은 L2이다. 처음에는 도통이 안되고 L1으로 전류가 흐른다. 그렇게 트랜지스터를 통과하는 동시에 L2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L2에 전류가 흐르는 동시에 L1 코일에 전류가 안가게되고, 이어서 트랜지스터도 닫히면서 L2도 닫히게되고 다시 위에 순서가 반복되면서 코일의 전류를 흘렸다가 끊었다가 반복하면서 자속변화가 생기는 원리이다. 다시 설명하면, L1에 전류가 안가게 된다기보단 L2에 생긴 자기장때문에 L1에 역기전력이 걸리면서 트랜지스터 베이스 문턱전압보다 낮아져서 닫히는 구조라 할 수있다. 어렵다.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쉽게 생각하면 L1은 L2를 흐로게 만드는 일을 하고, L2는 L1의 전류 흐름을 방해한다고 할 수 있다고 한다. 어렵다. 젠장. 결론적으로 L2에 전류가 흐를 때 L1에 역방향 전압이 걸리게 해야 한다.
그래서, 결론을 내렸다. 난 모듈을 구매한다. 끝.
##2023년 6월 1일 메이커 스페이스
5시에 일어나 집안일을 하고, 6시에 학교에 출근했다. 출근하는 길에 위 모듈로 만들고 싶은 것이 생겼다. 인공지능 보드게임!!
샘플 모듈을 보라. 영롱하다. 아름답다. 설레인다. 일단 독일의 Dr. Stefan Seegerer 교수님이 개발한 악어를 이겨라 강화학습 보드게임을 만들어 보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