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플랫폼을 분석하는 활동으로, 3인 1팀으로 6-7차시 동안 기존에 제작된 플랫폼을 분석하고 발표를 진행하게 됩니다.
위 PPT를 클릭하시면 수업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차시 OT
2차시 인공지능 플랫폼 소개: 간단 강의-주제 토론
3차시 관련 정보 탐색 (연구 계획서 작성 + 관련 기업, 자료, 기사, 코드 등)
4차시 캔바 활용 발표 자료 작성
5차시 연구활동 중간 발표
6~8차시 관련 정보 탐색 심화 및 문헌 정리
9차시 최종 산출물 발표
10차시 휴식
수업 철학 및 인식론으로 '구성주의' 5가지 학습 원칙을 실천하여 진행함.
체험적 학습,
학습자 주도적 학습,
협동학습,
실제적 성격의 과제,
교수자 역할로 퍼실리테이터 및 동료 학습자(같이 공부하는 느낌으로)라는
인식 바탕으로 수업을 이끌었습니다.
학생들에게 영상 공유에 대한 허락을 받고 중간발표를 업로드 합니다.
조별 주제 선정
1. 텍스트 인식 AI 플랫폼 분석(김oo, 신oo, 이oo )
2. 인식 관련 AI 플랫폼 분석(박oo, 김oo, 안oo )
3. 비젼 학습 플랫폼 분석(김oo, 노oo, 김oo )
4. 다양한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김승교, 정지환, 김준규 )
5. 미술 관련 AI 플랫폼 분석(임건빈, 박용준, 김강민 )
학생 결과 프레젠테이션 자료는 아래 사진을 클릭하면 PPT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 프로젝트 관련 세트 샘플]
인공지능 창의 산출 탐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인식과 관련된 인공지능이라는 주제로 활동을 진행함. 조사 과정에서 사람의 인식에 대한 조사를 선행적으로 해야한다는 아이디어를 제시 하였으며, 프로젝트 산출물 서론에서 이를 조사 및 제시하며 인공지능의 발달을 설명함. 또한 사물인식 인공지능에 쓰이는 기본적 원리와 이미지 인식의 하드웨어 기술들에 대한 이야기를 서술함. 나아가 게니멀, 셜록홈즈 AI 및 클로바 오씨알이라는 플랫폼의 작동 원리 및 사용방법을 소개하며 발표를 진행함.
인공지능 창의 산출 탐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인식과 관련된 인공지능이라는 주제로 활동을 진행함. 플랫폼으로 개니멀, 셜록홈즈 인공지능, 클로바 인공지능을 선택하고 관련 자료를 조사하며 인공지능 원리에 대해 소개함. 실제 발표시 컴퓨터를 연결하여 인공지능이 어떤 과정을 통해 인식하는지 플랫폼을 통해 보여줌. 현재 인공지능의 이미지 혹은 글자 인식 수준이 높다는 부분을 강조하며 앞으로 인공지능 발전을 통한 인간 사회가 어떻게 변화될지 이야기 하며 발표를 마무리함.
인공지능 분석 창의산출 활동에서 미술관련 AI플랫폼 분석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산출물을 완성함. 프로젝트 서기로서 전체 탐구 활동지가 완성될 수 있도록 오타 수정 및 내용, 문체 수정 역할을 수행함. 나아가 인공지능 관련 지식 배경을 조사하고 이를 친구들에게 공유, 논의함. 퀵드로우라는 플랫폼의 원리, 데이터 이해 과정, 그리고 인터페이스와 실험을 하고 이를 통해 창작이라는 개념을 인공지능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결론을 이야기함. 관련 내용의 PPT를 제작하고 다른 친구들에게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공유함.
인공지능 분석 창의산출 활동에서 미술관련 AI플랫폼 분석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산출물을 완성함. 탐구 보고서의 개요를 설정하고 전체 프로젝트 과정을 이끌어 감. 인공지능 탐구 프로젝트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자료를 정리함. 인공지능과 관련된 결론 초고를 작성하는 역할을 수행함. 또한, 프로젝트 과정에서 조원들과 논의 시 발생되는 갈등을 중재하는 역할을 수행함. 노블 에이아이 스테이블 디퓨전이라는 플랫폼을 조사하고 관련 인공지능의 원리 및 활용 방법에 대해 소개 및 발표함.
인공지능 분석 창의산출 활동에서 미술관련 AI플랫폼 분석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산출물을 완성함. 인공지능 프로젝트 탐구활동의 팀원으로약 10차시 동안 성실히 참여하였으며, 팀 전체를 성공적으로 이끔. 딥드림 제너레이터라는 플랫폼을 소개하며 다양한 화풍으로 AI 그림 창작물을 생성해주는 방법 소개와 그 원리에 대해 설명함. 관련 내용을 PPT로 제작하여 인공지능과 앞으로 인간 사회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소개함. 또한 현재 플랫폼의 한계성을 지적하며, 인공지능이 나아가야 할 방향까지 설명함.
인공지능 창의 산출 탐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인식과 관련된 인공지능이라는 주제로 활동을 진행함. 탐구 보고서 서론 부분의 이론적 배경을 첨삭하고, 인공지능과 관련된 결론 초고를 작성하는 역할을 수행함. 인공지능 인식 시스템을 활용한 3가지 사이트를 분석 및 데이터 바탕으로 학습을 시키고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함. 특히 셜록홈즈 인공지능에 대한 서비스 형태를 극찬하고 인공지능과 개인정보를 엮어서 해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함. 지문정보를 파기 하는 인공지능 원리 또한 추가로 이야기 하며, 앞으로 인공지능 인식이 개인 정보보호에 쓰이게 될 상황에 대해 예측하고 발표를 진행함.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텍스트 인식 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하고 자료를 제출함. 나아가 관련 인공지능 PPT를 제작하고 이를 인공지능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 전교생에게 공유 및 발표하는 활동에 참여함. 클로버 오씨알, OO 번역 이미지 촬영 기능, 라이브 텍스트라는 플랫폼을 선택하고 이와 관련된 원리 및 방법을 정리 및 발표함. 주제를 선택한 이유에서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혁명 그리고 급속도로 빨라진 정보화를 설명하며 인고지능 관련 다양한 기술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 요소라고 설명함.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텍스트 인식 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하고 자료를 제출함. 나아가 관련 인공지능 PPT를 제작하고 이를 인공지능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 전교생에게 공유 및 발표하는 활동에 참여함. 클로버 오씨알, OO 번역 이미지 촬영 기능, 라이브 텍스트라는 플랫폼을 선택하고 이와 관련된 원리 및 방법을 정리 및 발표함. 인공지능 탐구 프로젝트 전체 활동의 리더 역할을 맡았으며, 조원이 보낸 자료를 정리하고 관련 PPT를 제작하여 제출함.딥러닝 인공지능의 텍스트 검출 과정 분석, 뇌과학적 관점으로 분석하는 인간 텍스트 인식에 대한 내용을 조사 정리함.
웹을 활용하여 오픈으로 공개된 다양한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을 주제로 탐구 프로젝트에 참여 및 산출물을 완성함. 프로젝트 서기로서 전체 탐구 활동지가 완성될 수 있도록 오타 수정 및 내용, 문체 수정 역할을 수행함.인공지능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수합하여 클라우드에 정리 및 공유하는 역할을 수행함. 또한, 탐구 보고서의 전체 개요를 설계하고 이를 정리함. 강화학습을 체험할 수 있는 원숭이 악어 게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컴퓨터가 보상을 바탕으로 어떻게 학습하는지를 정리함.
창의산출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 활동에서 비젼 학습 인공지능 분야의 3가지 플랫폼을 분석하고 프로젝트에 참여함. 관련 탐구 활동의 조장으로서 약 10차시 동안 전체 활동을 이끄는 리더십을 보여줌. 지도학습, 뇌의 시각정보 인식, 객체인식이라는 부분으로 서론을 구분하고 관련 자료를 조사 및 정리하여 인공지능 사전 배경을 설명함. 웹캠 팩맨이라는 플랫폼으로 컴퓨터 캠을 활용한 지도학습으로 사진 데이터를 생성하여 게임을 컨트롤 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 및 발표함.
창의산출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 활동에서 비젼 학습 인공지능 분야의 3가지 플랫폼을 분석하고 프로젝트에 참여함. 탐구 보고서 서론 부분의 이론적 배경을 첨삭하고, 인공지능과 관련된 결론 초고를 작성하는 역할을 수행함. 비전학습 인공지능을 활용한 3가지 사이트를 분석 및 데이터 바탕으로 학습을 시키고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함. 특히 티쳐블 머신을 활용하여 학습시킨 객체들을 클래스로 분류하고 이를 웹캠을 활용하여 판별하는 방법 및 코드에서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까지 소개 및 정리함. 인공지능 지도학습 내용을 PPT로 작성 및 발표함.
창의산출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 활동에서 비젼 학습 인공지능 분야의 3가지 플랫폼을 분석하고 프로젝트에 참여함. 탐구 보고서의 개요를 설정하고 전체 프로젝트 과정을 이끌어 감. 인공지능 탐구 프로젝트의 내용 타당성을 높일 수 있도록 자료를 정리함. 인공지능과 관련된 데이터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지도학습 중심으로 설명함. 더불어 리빙 어치브라는 플랫폼을 소개하며 이 플랫폼이 학습하는 방법, 원리 그리고 사용방법을 정리하여 발표 및 공유함. 전체활동에서 인공지능에 대한 흥미를 깊이 갖고 참여하는 모습을 보임.
웹을 활용하여 오픈으로 공개된 다양한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을 주제로 탐구 프로젝트에 참여 및 산출물을 완성함. 관련 탐구 활동의 조장으로서 약 10차시 동안 전체 활동을 이끄는 리더십을 보여줌. 인공지능의 의, 경우의 수 이론, 강화학습에 대한 설명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체험해 볼 수 있는 단어유사도 추측게임, 강화학습 온라인 체험, 카타고라는 웹 인공지능 플랫폼의 원리, 특징, 사용방법을 정리하여 제출 및 발표함. 나아가 카타고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바둑의 경우의 수를 탐구하고 이와 관련된 바둑에 사용된 인공신경말 기술에 대해 설명함.
웹을 활용하여 오픈으로 공개된 다양한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을 주제로 탐구 프로젝트에 참여 및 산출물을 완성함. 탐구 보고서 서론 부분의 이론적 배경을 첨삭하고, 인공지능과 관련된 결론 초고를 작성하는 역할을 수행함. 또한, 프로젝트 과정에서 조원들과 논의 시 발생되는 갈등을 중재하는 역할을 수행함. 단우 유도도 추측 게임, 강화학습 원숭이 악어게임, 카타고 바둑 게임에 대한 강화학습 플랫폼의 원리와 작동 방법을 정리하고, 프레젠테이션을 제작하여 발표함.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텍스트 인식 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하고 자료를 제출함. 나아가 관련 인공지능 PPT를 제작하고 이를 인공지능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 전교생에게 공유 및 발표하는 활동에 참여함. 클로버 오씨알, OO 번역 이미지 촬영 기능, 라이브 텍스트라는 플랫폼을 선택하고 이와 관련된 원리 및 방법을 정리 및 발표함. 광학 문제 판독 기술의 단계별 원리와 사용예시를 사전 배경으로 제시하고 현재 인공지능 이미지 투 텍스트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적용 방법을 설명함. 인공지능 관련 기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임.
'Peace be with you.'
by Learn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