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Prompt Engineering
학생들과 Chat GPT 수업 방법에 대한 연구
학생들과 Chat GPT 수업 방법에 대한 연구
ChatGPT는 자연어 이해(NLU)와 자연어 생성(NLG)을 수행하는 데에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술을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ChatGPT는 자연어 이해를 위해 "질문-대답" 형태의 프롬프트를 사용하고, 자연어 생성을 위해 "완성-문장" 형태의 프롬프트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술은 ChatGPT가 다양한 자연어 테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우리는? 어떤 '질문(Question)'을 어떤 '맥락(Context)' 으로 해야 하는지 매우 중요합니다. 결국 학생 입장에서는 '자신의 삶에서 어떤 질문을 효율적으로 던지고, 원하는 최선의 해결책을 GPT를 활용하여 발견할 수 있을 지'가 중요합니다. 그렇기에 'Meta'라는 단어를 붙였으며, 한 교실의 학생이 각자 다른 목적(해결하고 싶은, 발견하고 싶은 문제)을 가지고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질문과 질문에 대한 맥락'을 서로 굥유하는 것이 매우 좋은 방향의 수업이라 생각됩니다. 이번 메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학습자가 스스로 연구하여 스스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통하여 질문과 맥락을 찾는 과정입니다.
아래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인공지능 기초' 수업에서 진행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인트로 강의 입니다.
2023.03.GPT 초기 버전(3.5 turbo 시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파이썬 기본 문법을 바탕으로 생성할 수 잇는 Simply Game Code를 GPT에게 질문하고 질문의 맥락을 설명하며 게임을 제작하고 실행하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나아가 고등학교 2학년 공학일반 시간에 '공학적 방법'으로 GPT를 활용하는 사고의 과정을 실습하고 이를 적용했습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엔지니어링(Engineering)'이 와 공학이라는 단어가 쓰였는지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공학'의 정의를 인공지능 프롬프트와 연결하여 해석하고 그 중요성을 설명하였습니다.
🍀2023학년도 고3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수행결과(맥락적으로 질문하기)
🍀2023학년도 고2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수행결과(프롬프트 엔지니어링)
2학년 '공학일반' 시간 공학으로 GPT 이해하기: 프롬프트 엔지니링 실습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