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_Result
-2025 공학 리서치 활동 결과-
-2025 공학 리서치 활동 결과-
2025년 공학 기반 디지털 콘텐츠 교육은 기초/심화 과정 구분 없이 하나의 통합된 교육 체계로 구성되었습니다. 특히, Microsoft 365 플랫폼을 활용한 공학 연구 및 진로 탐색 중심의 콘텐츠가 새롭게 도입되었습니다.
본 교육에서는 Teams를 중심으로 OneNote, Copilot 기능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학생들이 실제 공학적 사고를 기반으로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학습자들은 디지털 협업 환경 속에서 개인의 진로를 설계하고, 진로 관련 문제를 인공지능과 정의하며, 이를 다른 사람을 위해 시각화 시키며 표현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경험했습니다.
또한, 시각적 표현 능력 강화를 위하여 Canva를 활용한 16:9 비율의 웹 인포그래픽 제작 활동을 병행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공학적 주제를 시각화하고, 정보를 구조화하는 기술을 익히며 디지털 리터러시를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원노트에 정리된 인포그래픽 정보를 스마트 테블릿 PC를 활용하여 활용하였습니다.
최종 목표로 수행평가 점수 입력을 목표로 하지 않고, 실제 사회에 가치를 갖는 작품을 제작하는 것을 목표호 하였습니다. 우수작은 ‘작가와’ 플랫폼을 통해 E-book 형태로 퍼블리싱함으로써, 학습 결과물을 외부에 공유하고 창의적 성과를 확산시키는 경험까지 연계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 공학 리서치 활동 to 인포그래픽(기본)
최신 IT 기기 및 기술에 대한 조사 및 분석 후 디지털 메이킹 결과로 인포그래픽 생성 기초 수업입니다.
캔바 인터페이스 교육 후 스마트 테블릿(갤럭시 탬7)으로 3차시 분석 및 창작합니다. (스마트 테블릿만을 활용하여 창작 및 생산하여야 합니다.)
캔바 기본 템플릿을 활용 및 수정하여 창작을 진행하였으며, 이 후 정교한 인포그래픽 제작으로 실습이 이어질 예정입니다.
캔바 활용 인포그래픽 창작 교육은 궁극적으로 '공학 프로젝트'를 위한 사전 교육이라 할 수 있습이다. 공학 프로젝트에서 '도큐먼트' 작성을 인포그래픽으로 제작할 예정입니다.
✅ 엑셀과 Teams를 활용한 평가 채점
✅ Teams의 루브릭 기능을 활용한 채점 및 피드백
✅ 총괄 피드백도 작성하여 '반영'할 수 있습니다. 반영과 동시에 평가 전송됩니다.
✅ 7개의 각각 10점의 기준을 생성 및 수정하였으며, 이를 학생들에게 공지 후 '클릭'을 통해 점수를 입력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루브릭 요소에 '개별 피드백'을 모두 제시할 수 있다. 이렇게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론: 모든 개인은 좋아하는 '놀이'의 형태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