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창의산출_2023
교내 인공지능 학술 발표를 위한 '인공지능 창의 산출' 활동
교내 인공지능 학술 발표를 위한 '인공지능 창의 산출' 활동
🍀인공지능 창의 산출 수업 흐름
본 수업은 교내 2학년 학생 12명(공학 및 소프트웨어 공학과 희망 학생)을 선발하여 운영한 수업 사례의 과정이다.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 및 실습을 위해서 4인 1조로 팀을 설계하였다. 단순 이해 또는 코드를 가져다 돌려보는 수업은 '창의적' 수업과는 거리가 조금 있다고 판단되어 다른 방향의 수업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12명 4인 1조로 3개의 팀을 조직하였으며, 각 팀마다 하고 싶은 자유로운 주제(인공지능 관련)를 선정하도록 진행하였다.
모든 수업은 '구성주의' 관점에 기반을 두고 진행하였으며, 교사는 함께 공부하는 동료 학습자이자, 학습 환경을 최선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조력자 역할을 하였다. 이는 인식이며 수업 진행을 위한 단단한 철학 같은 것이었다. 일단 1차시는 '인공지능의 개념'과 '2023년 3월 3주'까지의 인공지능 발전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창작 및 제작할 수 있는 프로젝트 2개를 선별하였다.
1) 다양한 인공지능 플랫폼을 조합하여 5-8세가 읽을 수 있는 SF 동화 25페이지 이상 집필하기.
2) Chat GPT를 활용하여 코딩을 하되,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파이썬(Python)게임 10개 생성하기(Pygame 모듈 활용 OK!)
위와 같은 비구조적인 상황을 선정하고 아이들에게 하고 싶은 주제를 선택하도록 지도하였다. 60분 8차시로 진행되는 수업이기 땜문에, 숙제 없이 해당 시간에 많은 것을 배워갈 수 있는 최선의 흐름으로 수업을 설계하였다. 여기서 설명해 준 기본적인 기술(Skills)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질문의 맥락에 대한 이야기 였다.
아이들은 무료 GPT 3.5 lagacy version을 사용하였으며, 조금 부족한게 있으면 본 교사의 개인 유료 결재 계정을 활용하여 아웃풋을 수정하였다. 위 사진은 앞에 나와서 4.0버젼으로 결과 수정을 하는 사진이다. 파이썬 코드 같은 경우는 pygame Module을 활용하는 경우는 Vscode를 사용하고, 모듈 설치를 하여 테스트를 하였다. 그렇지 않고 일반 파이썬 기본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는 편하게 구글 코랩(Colab)을 활용하여 코드를 테스트 하였다.
목적은 연구라기 보다 퀄리티 좋은 코드를 빠르게 생산 및 수정하고, 많은 코드를 대량생산하여 다양한 사례를 정리하는 것으로 두었다. 이 방향이 현재 인공지능 발전과 활용의 방향과 일치한다고 생각하였다.
🍀인공지능 창의 자료 제작 및 수합
##AI 동화 및 Make to game with Chat GPT
자료 수합 링크
[AI 동화 메이킹 자료]안세진, 김승교, 박승한, 김강민
https://docs.google.com/document/d/1Rszl1PlRhPx8ZRXqrA30j__8TE96paioAnSZMqAXLl8/edit?usp=sharing
[파이썬 심플 게임 모음개발] 김용찬, 노유민, 이우진, 한규민
https://docs.google.com/document/d/1qLAqBQ6np_Hdaj1_WLg_FLO7yErO9h1VrRBzadhrz3Y/edit?usp=sharing
[파이 모듈 심플 게임 모음개발] 박용준, 김재원, 김찬영, 김형준
https://docs.google.com/document/d/16_xXwWBVYFaRwNhVCwHHUaVc-petkYyDIuvnQn5-HjM/edit?usp=sharing
🍀일별 활동 흐름 및 사진
3일차 되는 날(2023.05.09.), 프로젝트의 전체 흐름을 모든 팀원이 이해를 하고 있어서 아이들에게 시간을 부여하고, 나는 '조력자(Facilitator)역할만 하였다. GPT Plus version의 컴퓨터 1대를 열어주어 3.5 무료 버전을 사용하다 불편한 부분이 있으면 교사 PC를 활용하게 하였다. 동화를 작성하는 팀도, 파이썬 기본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게임을 개발하는 팀도 스스로 하는 분위기 이다.
4일차 되는 날(2023.05.23.) pygame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파이썬 게임 샘플을 연구하는 팀에서, GPT를 활용하여 코드를 설계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중간 과정을 보여달라고 했는데 각 팀에서 1개의 샘플을 보여주었다. 하나는 테트리스, 하나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공룡게임 스타일의 플랫포머 게임이었다. 흥미로운 시간이다. 이제 이 코드 중 이미지, 점수화, 인터페이스 등을 수정해서 간단한 게임을 제작할 수 있을 듯 하다.
5-6일차 되는 날(2023.05.-06.) 생성한 코드와 동화를 문서로 작업하다. 구글 독스 및 캔바를 활용하여 보고서를 협력하여 작성하는 시간을 갖었다.
7-9일차 되는 날(2023.06.06 - 2023.06.20.) 코드를 수정하고, 인공지능 창의 산출 기본 발표를 위한 문서를 편집하였다. 시간이 지나니 아이들의 몰입 및 집중도가 조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프로젝트 과정에서 그런 일은 익숙하기 때문에 끝까지 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다. 교사의 입장에서 크게 지도하지 않고 관찰을 하며 사이사이 질문을 통하여 목적을 향에 나아갈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100%출석 완료하고, 한빛마루 인공지능 공학 분야 발표를 위한 준비 끝.!
'Peace be with you.'
by Learn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