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er Space + Lab
-대한민국 서울 고등학교의 메이커 스페이스 이야기-
-대한민국 서울 고등학교의 메이커 스페이스 이야기-
2023년 서울시교육청 메이커 모델학교에 선정되어 메이커 스페이스 in 재현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다른 모델학교나 과학관, 마이스터고와 같이 엄청나게 대단하지는 않지만 소소하게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관련 교육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작하는데 의의를 두고 진행하였습니다.
2023년 4월 7일 정도 교장선생님 및 교감선생님께서 현재 직업반 교실의 공간을 메이커 스페이스로 개선하는 부분에 득해주셨습니다. 어떤 실을 만든다는 것은 그 실을 사용하는 다른 학생들에게 피해가 갈 수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진행하였습니다. 직업반 학생은 4명이었으며 월요일 오전만 등교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직업반 담임선생님께 양해를 구하고 공사를 진행하였습니다. 다행하게도 흔쾌히 허락해 주셨습니다.
학교의 시설 담당 행정실 선생님께 말씀을 드리고 내부공사 예상 금액을 협의하였습니다. 전체 사업비 48,750,000원 중에서 20,000,000을 공사비로 사용하기로 했으나, 실제 공사를 진행하다보니 전기, 에어컨, 환풍기, 문, 메이커 스페이스 스카시, 시건장치 그리고 기존에 있던 폐기물 처리 등의 비용이 들었습니다. 전기 공사 비용으로 5,000,000원을 추가하여 25,000,000원을 시공비용으로 사용하였습니다. 바닥공사 및 섀시 그리고 천정매립형 콘센트 공사까지는 비용이나오지 않았기에 하지 못했습니다. 최대한 콘센트를 많이 만드는 방향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위 사진은 공사 전 사진 입니다. 의자와 책상을 다른 곳으로 이동하고 교실 뒤에 있던 폐기 가구를 모두 정리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또한 커튼과 천정의 배선을 모두 처리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처음부터 깔끔한 느낌이 나도록 꾸미는 것이 목적이었으며, 최대한 인테리어는 깔끔하게 그리고 가구로 포인트를 주는 메이커 스페이스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따라서 위 사진 중 스마트 TV, 공기청정기, 에어컨을 제외한 모든 것들을 제거하기로 협의하였습니다.
일단 4월 15일 정도 바로 폐기물 처리를 시작하였습니다. 교실 1.5칸 정도였으며 뒷 부분에는 3D프린터 및 레이져 커트를 활용하는 유해물질 차단 공간을 만들기로하였습니다. 공사를 하며 블라인드 부터 설치하였습니다.
다음 날 바로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일단 공간 구획 및 가벽 두께, 사이드 벽 두께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공사 현장에 가서 원하는 부분을 말씀 드렸습니다. 특히 메이커 실은 전기 및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배선 부분에 특히 신경써서 말씀드렸습니다. 신oo 시설 관리 주무관님께서도 본인 일처럼 도와주셨습니다.
유해물질 배출 실 사이드 부분에 레이져 커터기(데이비드 레이져)업체에 미리 전화하고 150파이의 구멍(배기호스)이 뚫려있어야 한다는 말씀을 전달 받았습니다. 그리고 시공하시는 분들과 행정실 주무관님게 그 구멍을 뚫어달라고 부탁하였습니다. 위 사진 왼쪽 위를 보면 환풍기 위치가 있고 그 아래 정사각형으로 150파이 구멍을 뚫기 위하여 정사각형으로 비워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약 공사 시작 4일 째 되는날 가벽이 거의 완성이 되었으며 구조상으로 실의 형태가 완성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가벽 부분에 1.2m사이즈의 유리창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하였습니다.
약 공사 시작 5일 째 되는날 공사 현장 1차 정리가 끝나고 페인트 칠을 시작하였습니다. 이때 협의를 한번 더해서 배선 위치를 다시 확인하고, 페인트 색을 정하였습니다. 저는 화이트를 선택하고 포인트는 남색으로 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유는 화이트가 빨리 더러워 질 수 있으나, 추후에 보수가 편하기 때문에 그렇게 선택하였습니다. 학교 자체적으로 다시 화이트색으로 칠하기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약 공사 시작 6일 째 되는 날 도색을 시작하였으며, 이 때 문 시트지 작업도 시작하였습니다. 문색은 네이비로 걸레받이 색은 그레이로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약 7일 째 되는날 전체 도색이 완료 되었으며, 아직 청소는 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창틀 부분에 목재로 되어 있었기에 인조대리석을 활용하여 포인트를 주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라는 레터링 스카시를 어떤 위치에 넣을 지 협의하였습니다.
약 8일 째 되는 날 청소 및 스카시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레터링도 직접 선탯하였으며 문과 창문이 연결되는 느낌으로 말씀드려 작업하였습니다.
약 9일 째 되는 날 블라인드를 잠시 제거하고 인조 대리석으로 창틀 시공을 진행하였습니다. 창틀 인조 대리석 부분은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정말 많은 차이가 났습니다. 전체적으로 공사가 완료되어 이 시점에서 가구를 구매하였습니다. 의자는 기존에 학교에서 사용하던 화이트 사출의자를 활용하여 금액을 아꼈습니다.
약 10일 공사가 거의 마무리 되고 부족한 부분 레일등, 실리콘 미흡한 부분 등은 추후에 보수를 약속 받았습니다. 두닷에서 콰트로 에어 1206테이블을 구매하고 8개를 실에 설치하였습니다. 두닷 테이블은 학교장터나 나라장터에는 없는 테이블인데 이전 인공지능 공학실에서 사용한 테이블로 너무 가성비가 좋아서 다시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두닷 사이트에서 견적을 받고 인터넷으로 구매하였습니다.
그리고 유해물질 차단 실에는 두닷 콰트로 아크 2008 책상을 머그컵 프레스, 평판 프레스 용으로 구매하였습니다. 책상이 들어 온 후 승화 전사장비(크리크) 및 레이져 커터기 결재를 올리고 배송을 시작하였습니다.
이 후 레이져 커터기를 설치하였습니다. 관련 구매 제품 및 교육영상은 링크를 클릭하시면 확인하 실 수 있습니다.
같은 날 크리스에서 승화 전사 장비 설치 및 사용 방법 교육을 해 주셨습니다. 관련 제품에 대한 설명 및 구매 방법, 그리고 컵 및 티셔츠 등의 열전사 제작 방법은 링크를클릭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몇일 뒤 의자를 옮기고, 삼성 플립3 스마트 TV 85인치 화이트 모델을 배송 받았습니다. 삼성 제품이 판서 및 다른 기기 연동이 편해서 저는 이 제품을 주로 구매하여 사용합니다. AS도 매우 편하게 되어있습니다.
어느 정도 실 가구가 들어온 5월 11일 즈음 1차 비품을 구매하였습니다.(이동식 작업장 송풍기, 아이피 타임, 구글 스마트 스피커, CCTV, 메이커 스페이스 청소기 등)을 구매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레이져 커팅, 3D프린팅, 열전사 작업 등을 할 수 있는 유해물질이 발생할 수 있는 내부 공간 부터 정리하였습니다. 조명도 설치하고 컴퓨터도 기존에 있던 것으로 설치하였습니다.
어느 정도 실 가구가 들어온 5월 11일 즈음 1차 비품을 구매하였습니다.(이동식 작업장 송풍기, 아이피 타임, 구글 스마트 스피커, CCTV, 메이커 스페이스 청소기 등)을 구매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렌선 배선을 하고, 아이피 타임을 연결하여 무선인터넷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 기존 기술실에 있던 타공판이나 공구 걸이 등은 버리지 않고 가지고 와서 재활용하였습니다. 교장 선생님, 교감 선생님께 머그컵 만들기 및 티 만들기 메이킹을 활동을 말씀 드리고 쉬는 시간에 함께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외로 너무 좋아하셨습니다. ㅎㅎ
학생 테이블 보호 매트를 깔고 청소를 한번 더하고 마무리 하였습니다. 메이커 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노트북은 학교에서 24대를 새로 구매해 주기로 하였습니다. 피지컬 컴퓨팅 혹은 디자인 작업, 코딩 활동 등을 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매하기로 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학교의 정보선생님께 지원을 받았습니다. 감사하게도 흔쾌히 지원해 주셨습니다. 위 과정까지 진행했던 3번의 협의 내용은 아래 협의록 그림을 클릭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여기까지 진행한 일자가 2023년 5월 17일 이며, 이후 교육운영비에서 기본 공구 및 메이킹 재로, 동아리 메이킹 교육 물품 지원 등으로 운영비를 사용하여 교육 준비를 한 후 메이킹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학교 신명훈 선생님께서 지원해 주신 잉크젯 레이져 프린터. 감사합니다. :)
2023년 05년 24일 필요한 공구와 수업용 교보재를 하나씩 구매하기 시작했습니다. 검전기, 망치, 전원장치, 타공판, 노트북 거치대 등을 구매하고 설치하였습니다.
야간에 촬영하여 사진에 노이즈가 있습니다. 올드한 느낌이 들어서 너무 좋네요.
유해물질이 나오는 실의 형태를 깔끔하게 꾸몄습니다.
청소 도구를 구매하고, 활동 준비를 마쳤습니다. 다만, 현재 노트북 지원이 되지 않아 내년 예산으로 구매할 예정입니다.
🍀 2023.11.01. 메이커 교육 운영 중 메이커 스페이스 모습
1차로 꾸며긴 기본 메이커 스페이스, 서울시 교육청 메이커 모델학교 1차년도 결과입니다.
메이커 활동에 영감을 주기 위해 계속 공간을 디자인 하는 중입니다.(2024.02.)
주로 피지컬 컴퓨팅 메이킹 활동을 연구한다. 각종 센서 정리 중(2024.03.)
2024.03.어느날 오전 7시 20분에 와서 솔더링을 하는 아이
메이킹 연구
아크릴 밴딩 및 공구 작업 장소
로봇 연구
아이들 코딩 연구용
사비로 산 레트로 마우스
아이맥, 구형 아이패드 등 집에 있는 애플을
Dewalt Zone(하드웨어 작업을 위한 공간)
Electronic Zone(전공학 작업을 위한 공간)
공학 메이킹 학생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을 위한 공간
강화학습 컴을 메이킹 강의 컴퓨터로
점점 채워지는 메이커 스페이
유해물질 배출실도 감성적으로
디지털 메이킹을 위한 윈도우 생태계 연구
Making 분해(역공학)를 위한 레트로 게임기 제작
2021년도 구매한 노트북 배터리 수리
청출어람, 성재의 선물(2024년 2학년)
피지컬 컴퓨팅용 미니PC 아야네오 설치
하드웨어 분해 후 업그레이드
코딩 연구를 위한 SSD 설치
아두이노 피지컬 존 세팅 in 메이커 스페이
재현 교직원 자율 연수 MS 생태계를 이해한 메이킹 교육
커스터 마이징 데스크 테리어 메이킹 교직원 활동(Ms 플랫폼 교육 후)
선생님들께서 메이커 스페이스에 주신 선물
일본 여행 후 주홍신이 주신 선물
레트로 팜 연수를 위한 준비
장O수 선생님의 핸드 메이드 우드 샤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