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해야 함.)
위 'Click Here'를 누르시면 PPT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생 개인이 관심있는 기술 & 공학 분야를 스스로 탐구하고 조사하는 활동입니다. 본 수업의 특별한 점은 PPT를 스마트 폰으로 제작해 보며 디지털 리터러시능력 함양을 위한 수업 설계 라는 점입니다. 또한, 스마트 폰으로 제작한 PPT자료를 '인포그래픽'으로 변환하는 활동 또한 스마트폰을 활용합니다. 기존의 PC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고, 데이터를 관리하고, 제작하는 일련의 모든 활동을 스마트 폰 혹은 테블릿 PC로 진행을 합니다.
나아가 데스크탑과 현재 사용하는 스마트 폰, 테블릿 PC을 비교하고 무엇이 불편한지 발견하고 개선사항을 논의하는 활동까지 이어 갑니다. 체험하고 생각하는 교육 안에서 디지털 리터러시가 길러질 것이라 확신합니다. 플랫폼으로는 캔바(Canva)를 활용합니다.
##인포그래픽 제작 조건
사용할 에듀테크 플랫폼: 캔바(Canva)
캔바 인포그래픽 디자인 템플릿 활용
사이즈: 캔바에서 제공하는 인포그래픽 기본 사이즈(800 x 2000 px)
명확한 주제를 고려한 '헤드라인(제목)'작성
최소 텍스트 + 가독성 + 문장의 길이 중요
인포그래픽을 보는 사람 입장에서의 시선의 흐름(Flow) 중요
인포그래픽 소주제 기준 5가지 이생 (원리 및 구조 / 관련 연구 기관 및 기업, 사람 / 실제 활용 사례 / 미래 발전 요소 / 공학기술의 가치 등)
인포그래픽 소주제 기준을 설정하면 해당 소주제에 대한 '인포그래픽 소주제 제목'을 고려하여 디자인(ex. 양자 컴퓨터의 원리 --> 양자 컴퓨터는 어떻게 작동 할까?)
##디지털 메이킹 활동 사진(by Canva)
2024년 기준 공학일반(3단위)로 수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공학적 접근에 대한 이해 이후 '디지털 사용 능력 함양' 및 '공학 리서치' 활동을 PBL로 진행하였습니다. 4개의 반이 모두 다른 '비구조적인 문제'를 바탕으로 '인포그래픽'제작을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한 반은 '2023년-2024년 사이에 개발 및 연구된 최신공학기술 제작'이었으면, 다른반은 '공학 제품 1가지를 선택하고 초등학교 2학년 동생을 이해시킬 수 있는 인포그래픽 만들기' 로 문제상황을 각각 다양하게 하여 산출물의 형태를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3차시로 실습시간을 보장하였으며, 캔바 템플릿 (인포그래픽) 디자인 샘플을 활용하여 '디지털 노동'의 시간을 아꼈습니다.
데스크 탑 및 노트북을 활용하는 것이 아닌, 스마트 테블릿과 본인의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창작 및 생산'을 하였으며, 중요한 관점으로 스마트 테블릿으로 컨텐츠를 메이킹(생산)하는 것에 대한 중요한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리고 산출물이 모두 수합되면, 각각 생산한 정보(인포그래픽)을 실습실 현장에서 인쇄하여 서로 공유하는 활동까지 진행함을 알라고, '지식의 공유'가 매우 중요함을 설명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