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learn Prototype Activity
-2024, 바운더 런으로 하는 수업 활동 결과-
-2024, 바운더 런으로 하는 수업 활동 결과-
🍀로봇 하드웨어 개발 특강: 비트런 프로토 타입으로 교육을 햇던 이유
요즘 들어 비트런 개발을 권현중 대표님과 함께 진행하면서, 수업에 대한 새로운 상상을 하게 되었습니다. 단순히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넘어, 로봇 하드웨어 개발 수업 안에서 학생들과 함께 로봇의 문제를 발견하고, 또 그 문제를 함께 해결해가는 과정을 수업으로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아이들이 로봇 개발 과정에 참여하고, 로봇 매커니즘의 문제를 찾아내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며, 자신의 아이디어가 실제 설계로 구현되는 모습을 보는 것이 강력한 학습의 순간이라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주는 교사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단순한 정답이 아니라, 그들의 창의력과 탐구력을 기반으로 한 설계에 대해 진지하게 응답해주는 사람으로서의 교사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였다.
교육은 결국 상호작용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상호작용의 핵심은 학생의 생각을 존중하고, 그것이 현실에 적용되는 가능성을 열어주는 데 있습니다. 짧은 경험이지만 아이디어가 설계가 되고, 설계가 다시 아이디어를 부르는 선순환. 그 안에서 아이들도, 나 자신도 함께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프로토 타입 비트런! -> 바운더 런에서 네이밍 변경^^(2024.11.)
🍀로봇 하드웨어 개발 특강: 2024 하반기 영상
[런모어] 바운더 런(2-Leg 로봇) 교육 및 활동 영상
🍀로봇 하드웨어 개발 특강: 비트런 프로토 타입 연구 과정
1️⃣ 부품 조립 단계
학생들이 로봇의 하드웨어 부품을 손으로 직접 조립.
다양한 공구(드라이버, 렌치 등)를 활용하여 프레임이나 기구 부품을 연결.
2️⃣ 도구 활용 및 실습
납땜, 배선 연결, 센서 장착 등 전자기기 조립 과정 포함.
실습용 테이블 위에 부품과 도구가 정리되어 있음.
3️⃣ 팀 협업 및 토론
학생들이 그룹으로 앉아 설계 아이디어를 공유하거나 문제를 논의하는 모습.
화이트보드나 노트북을 활용한 설계 스케치 또는 코드 작성 가능성.
4️⃣ 테스트 및 피드백
조립된 로봇을 바닥에 놓고 동작 테스트를 진행하는 장면.
교사 또는 동료 학생이 피드백을 주는 모습도 포함.
5️⃣ 교실 또는 실험실 환경
활동은 교육용 실습실 또는 메이커스페이스에서 진행된 것으로 보임.
책상, 의자, 공구함, 전원 장치 등이 배치되어 있음.
6️⃣ 최종 결과물 공유
완성된 로봇을 들고 있는 모습 또는 발표 준비 중인 장면.
포트폴리오나 발표 자료 제작을 위한 촬영 가능성.
🍃 비트런 프로토 타입 분석 포트폴리오 결과: 2024 하반기
'Peace be with you.'
by Learn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