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ecraft prompt
-마인 크래프트 프롬프트 모음-
-마인 크래프트 프롬프트 모음-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을 위한 기본 명령 프롬프트 모음
🍃 /msg [플레이어] [메시지] - 비공개 메시지 전송
설명: 특정 플레이어에게 개인 메시지를 보냅니다.
예시: /msg @p "미션을 시작하세요!" (현재 플레이어에게 개인 메시지 전송).
활용: 학생들에게 개별 지시를 내리거나 비공개로 피드백 제공.
🍃 /data [명령] - 엔티티 데이터 보기/수정
설명: 블록이나 엔티티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수정합니다.
예시: /data get entity @p Inventory (플레이어의 인벤토리 데이터 조회).
활용: 고급 명령어를 통해 월드와 엔티티를 세부적으로 제어.
🍃 /tp [플레이어 이름] x y z - 텔레포트
설명: 플레이어를 특정 좌표로 이동시킵니다.
예시: /tp @p 100 65 200 (현재 플레이어를 x=100, y=65, z=200으로 이동).
활용: 학생들을 같은 위치로 이동시켜 활동을 시작하거나 중요한 지점으로 빠르게 이동할 때 사용.
🍃/tp [플레이어] [다른 플레이어] - 플레이어 간 텔레포트
설명: 한 플레이어를 다른 플레이어에게 텔레포트합니다.
예시: /tp @p @a (현재 플레이어를 모든 플레이어의 위치로 이동).
활용: 그룹 활동에서 플레이어들을 한곳에 모으거나 도움 요청에 응답.
🍃/give [플레이어 이름] [아이템] [수량] - 아이템 지급
설명: 특정 아이템을 플레이어에게 지급합니다.
예시: /give @p diamond 10 (현재 플레이어에게 다이아몬드 10개 지급).
활용: 수업이나 프로젝트 진행 시 필요한 아이템을 빠르게 지급할 때 유용.
🍃/gamemode [모드] - 게임 모드 변경
설명: 플레이어의 게임 모드를 변경합니다.
creative: 크리에이티브 모드 / survival: 서바이벌 모드 / adventure: 어드벤처 모드.
예시: /gamemode creative (크리에이티브 모드로 변경).
활용: 특정 활동에 따라 학생들의 게임 모드를 조정.
🍃/weather [날씨] - 날씨 변경
설명: 월드의 날씨를 변경합니다.
clear: 맑음 / rain: 비 / thunder: 천둥.
예시: /weather clear (날씨를 맑음으로 설정).
활용: 환경 시뮬레이션이나 날씨 효과를 활용한 수업에 사용.
🍃/weather cycle - 날씨 순환 설정
설명: 월드에서 날씨가 자동으로 변하도록 설정합니다.
예시: /weather cycle (날씨 자동 순환 활성화).
활용: 자연 조건 시뮬레이션이나 환경 학습에서 현실감을 부여.
🍃/time set [시간] - 시간 설정
설명: 월드의 시간을 변경합니다.
day: 낮. / night: 밤.
숫자 입력 가능 (0=새벽, 6000=정오, 18000=밤).
예시: /time set day (낮으로 설정).
활용: 특정 시간대에서 활동을 시작하거나 낮/밤 조건을 설정.
🍃/kill [대상] - 대상 제거
설명: 특정 플레이어나 몹을 제거합니다.
예시: /kill @e[type=zombie] (월드의 모든 좀비 제거).
활용: 불필요한 몹이나 실수로 소환한 대상 제거.
🍃/effect [플레이어 이름] [효과] [시간] [강도] - 상태 효과 부여
설명: 특정 효과(예: 속도, 힘)를 부여합니다.
예시: /effect @p speed 60 2 (현재 플레이어에게 60초 동안 속도 2배 효과).
활용: 게임 내 도전 과제나 실험에 다양한 효과를 추가.
🍃/enchant [플레이어] [마법 이름] [레벨] - 장비 마법 부여
설명: 플레이어의 장비에 마법 효과를 부여합니다.
예시: /enchant @p sharpness 5 (현재 플레이어의 무기에 5단계 예리함 부여).
활용: 특정 장비를 강화하여 도전 과제를 추가하거나 수업의 재미를 더함.
🍃/fill x1 y1 z1 x2 y2 z2 [블록] - 영역 채우기
설명: 특정 좌표를 블록으로 채웁니다.
예시: /fill 0 64 0 10 64 10 stone (x=0, y=64, z=0부터 x=10, y=64, z=10까지 돌로 채우기).
활용: 건축 프로젝트를 빠르게 완료하거나 대규모 구조물을 생성.
🍃/clone x1 y1 z1 x2 y2 z2 x y z - 영역 복제
설명: 특정 영역을 다른 위치로 복제합니다.
예시: /clone 0 64 0 10 64 10 20 64 20 (원래 영역을 다른 위치로 복사).
활용: 학생들이 만든 건축물을 복사해 다른 활동에서 재사용.
🍃/summon [몹] [x y z] - 몹 소환
설명: 특정 좌표에 몹을 소환합니다.
예시: /summon zombie 100 65 100 (x=100, y=65, z=100에 좀비 소환).
활용: 생물학 또는 환경 학습 시 몹을 활용
🍃/setblock x y z [블록] - 특정 블록 배치
설명: 지정된 좌표에 특정 블록을 배치합니다.
예시: /setblock 0 64 0 stone (x=0, y=64, z=0에 돌 배치).
활용: 특정 지점에 구조물을 만들거나 실험 설정.
블록 이름을 영어로 알아야 함: 데이터 값/블록 ID - Minecraft 위키 사이트를 확인하여 블록 이름 확인.
🍃/clear [플레이어 이름] [아이템] - 아이템 제거
설명: 플레이어의 인벤토리에서 특정 아이템을 제거합니다.
예시: /clear @p diamond (현재 플레이어의 다이아몬드 제거).
활용: 실수로 지급한 아이템을 제거하거나 인벤토리 초기화.
🍃/title [플레이어] title [메시지] - 화면 중앙에 제목 표시
설명: 플레이어의 화면 중앙에 큰 텍스트를 표시합니다.
예시: /title @p title {"text":"미션 시작!","color":"red"} (현재 플레이어 화면에 '미션 시작!' 표시).
활용: 수업 시작, 목표 전달, 또는 게임 이벤트 공지에 사용.
🍃/worldborder [명령] [값] - 월드 경계 설정
설명: 플레이어가 탐험할 수 있는 월드의 경계 크기를 설정합니다.
예시: /worldborder set 100 (월드 경계를 100블록 크기로 설정).
활용: 학생들이 특정 영역에서만 활동하도록 제한하거나 실험 범위를 설정.
🍃/particle [효과] [좌표] - 입자 효과 생성
설명: 특정 좌표에서 다양한 시각 효과를 생성합니다.
예시: /particle flame 0 64 0 0.5 0.5 0.5 0 100 (x=0, y=64, z=0에서 불꽃 효과 생성).
활용: 환경 시뮬레이션, 축제 이벤트, 또는 특별한 표시로 사용
🍃/replaceitem - 아이템 교체
설명: 특정 슬롯의 아이템을 다른 아이템으로 교체합니다.
예시: /replaceitem entity @p slot.weapon.mainhand diamond_sword (플레이어의 주무기를 다이아몬드 검으로 교체).
활용: 학생들에게 특정 장비를 지급하거나 게임 내 역할을 조정.
참고: 마인크래프트 아이템 이름을 영어로 알아야 합니다. 정보킹(마인크래프트 아이템 코드(블록 ID) 목록 사이트 - 정보킹) 사이트에서 영어 아이템을 검색하세요.
🍃/testfor [대상] - 특정 조건 만족 여부 확인
설명: 특정 대상(플레이어, 몹)이 존재하거나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합니다.
예시: /testfor @p[r=10] (반경 10블록 안에 플레이어가 있는지 확인).
활용: 과제 완료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하거나 조건부 이벤트를 설정.
🍃/scoreboard - 점수판 설정
설명: 점수판을 만들어 플레이어의 점수, 통계, 목표 등을 추적합니다.
예시: /scoreboard objectives add Points dummy "포인트" (새 점수판 추가).
활용: 팀별 점수 집계, 개별 활동 평가, 게임 대회에 사용.
🍃/xp [수량] - 경험치 추가
설명: 플레이어에게 경험치를 부여하거나 제거합니다.
예시: /xp 10 @p (현재 플레이어에게 10 경험치 부여).
활용: 게임 레벨 조정이나 보상 지급에 사용.
🍃/blockdata [좌표] [데이터] - 블록 데이터 수정
설명: 특정 블록의 데이터를 변경합니다.
예시: /blockdata 0 64 0 {"Items":[{"Slot":0,"id":"diamond","Count":64}]} (x=0, y=64, z=0 상자에 다이아몬드 64개 추가).
활용: 상자, 명령 블록 등과 상호작용하여 맞춤 콘텐츠 제작.
🍃/effect give [플레이어] resistance [시간] [강도] - 저항 효과 부여
설명: 플레이어에게 피해 저항 효과를 부여합니다.
예시: /effect give @p resistance 60 1 (60초 동안 1단계 저항 부여).
활용: 위험한 활동이나 실험에서 플레이어를 보호.
🍃/playsound [소리] [대상] - 특정 소리 재생
설명: 특정 소리를 플레이어에게 재생합니다.
예시: /playsound minecraft:entity.cat.ambient @p (플레이어에게 고양이 소리 재생).
활용: 학습 활동에서 몰입감을 더하거나 알림음으로 사용.
🍃/stopsound [플레이어] [소리] - 특정 소리 정지
설명: 월드에서 특정 소리를 중지합니다.
예시: /stopsound @p music (현재 플레이어의 배경음악 정지).
활용: 활동 중 불필요한 소리를 제거하거나 조용한 환경을 만들 때 유용.
🍃/spawnpoint [플레이어] [좌표] - 스폰 지점 설정
설명: 플레이어의 부활 지점을 설정합니다.
예시: /spawnpoint @p 0 64 0 (x=0, y=64, z=0에 스폰 지점 설정).
활용: 특정 활동 장소로 부활 지점을 고정하거나 학생들의 출발 지점을 설정.
🍃/team - 팀 설정
설명: 플레이어를 팀으로 나누고, 팀별 규칙을 설정합니다.
예시: /team add Red (Red 팀 생성) / /team join Red @p (현재 플레이어를 Red 팀에 추가).
활용: 팀 프로젝트나 경쟁 활동을 위한 팀 나누기.
🍃/team modify [팀 이름] [속성] - 팀 속성 변경
설명: 팀의 색상, 규칙 등을 수정합니다.
예시: /team modify Red color red (Red 팀의 색상을 빨강으로 설정).
활용: 팀별로 시각적인 구분을 제공하거나 규칙을 설정하여 활동 관리.
🍃/effect give [플레이어] night_vision [시간] - 야간 투시 효과 부여
설명: 플레이어에게 어두운 환경에서도 볼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합니다.
예시: /effect give @p night_vision 60 (현재 플레이어에게 60초 동안 야간 투시 제공).
활용: 어두운 동굴 탐험이나 야간 활동에 사용.
🍃/setworldspawn [x y z] - 월드의 스폰 지점 설정
설명: 월드에서 기본 스폰 지점을 설정합니다.
예시: /setworldspawn 0 64 0 (x=0, y=64, z=0에 기본 스폰 지점 설정).
활용: 학생들이 특정 위치에서 활동을 시작하도록 환경을 설정.
🍃/locate [구조물] - 구조물 위치 찾기
설명: 특정 구조물(마을, 요새, 사원 등)의 좌표를 제공합니다.
예시: /locate village (가장 가까운 마을의 좌표 표시).
활용: 학생들이 탐험을 시작하거나 특정 구조물을 학습 주제로 사용할 때 유용.
🍃/spreadplayers [x z] [범위] [거리] [플레이어] - 플레이어 무작위 배치
설명: 플레이어를 특정 중심점에서 무작위로 배치합니다.
예시: /spreadplayers 0 0 10 50 @a (x=0, z=0 중심에서 10~50블록 범위에 플레이어 분산).
활용: 그룹 활동 시작 시 학생들을 무작위로 배치하거나 위치를 분산시킬 때 사용.
🍃/function [파일 이름] - 저장된 함수 실행
설명: 사전에 저장된 명령어 세트를 실행합니다.
예시: /function start_game (start_game 함수 실행).
활용: 복잡한 명령어 세트를 자동화하여 반복 작업을 간소화.
🍃/difficulty [난이도] - 월드 난이도 설정
설명: 월드의 난이도를 변경합니다.
peaceful: 몹 스폰 없음 / easy: 쉬운 난이도 / normal: 보통 난이도 / hard: 어려운 난이도.
예시: /difficulty peaceful (몹 스폰 없이 평화롭게 설정).
활용: 수업에 맞는 적절한 난이도로 설정하여 학생들의 몰입도를 조절.
🍃/reload - 데이터팩 및 함수 새로 고침
설명: 월드에 적용된 데이터팩이나 함수를 새로 고칩니다.
예시: /reload (모든 데이터팩 다시 로드).
활용: 새로 추가된 명령어 세트나 수정사항을 즉시 반영.
'Peace be with you.'
by Learnmore'